라벨이 생활.제도인 게시물 표시

고속도로 통행료 미납? 차량번호로 바로 확인하고 끝내기

이미지
갑자기 고속도로 통행료 미납 안내 문자를 받았던 경험, 한 번쯤 있으시죠? 대부분은 하이패스 단말기 오류나 카드 인식 실패 같은 사소한 이유인데요. 차량번호만 있으면 로그인 없이 바로 조회되고, 본인인증만 거치면 납부도 아주 간단하게 처리됩니다. 👉 통행료 미납 조회 바로가기 🚘 미납 발생 원인은 대부분 '기기 오류' 하이패스를 정상적으로 통과했다고 생각했는데, 나중에 통행료 미납 안내를 받는 경우가 있죠. 이런 상황은 대개 단말기 배터리가 꺼져 있거나, 결제카드 오류, 혹은 순간적인 인식 실패가 원인이더라고요. 차량번호만 입력하면 실시간으로 미납 여부를 확인가능! 📲 로그인 없이 차량번호로 바로 조회 차량번호를 입력하면 미납 내역 유무를 바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단, 실제로 납부를 하려면 반드시 차량 소유자 본인 명의로 본인인증을 거쳐야 해요. 본인 인증은 소유자만 가능하며, 휴대폰이나 아이핀 인증 필수! 비회원으로도 본인인증만 하면 미납 내역 확인 및 납부 가능! 조회는 미납 발생 후 3~4일이 지나야 가능하며, 소유자 인증이 기본! 💳 납부 방법은 이렇게 4가지 미납된 고속도로 통행료는 다음 4가지 방법 중 하나로 납부할 수 있습니다. 하이패스 후불카드. 신용카드. 가상계좌 입금. 계좌이체. 미납 내역 확인 후, 본인이 원하는 납부 방법 선택 가능! OBU 미작동 등 상세 사유와 금액 내역까지 모두 표시됩니다. 실제로 저는 계좌이체로 납부로 금방 끝냈습니다~ ❓ 자주 묻는 질문 (Q&A) Q. 미납 통행료는 바로 조회되나요? A. 보통 미납 발생 후 3~4일이 지나야 시스템에 반영됩니다. Q. 고지서를 무시하면 어떻게 되나요? A. 3...

IP주소, 이렇게 바꾸면 끝! 확인부터 변경까지 쉬운 방법

이미지
지금 어떤 IP주소로 인터넷에 접속 중인지? 생각보다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예전처럼 복잡한 명령어를 쓰지 않아도 되고요, 'VPN'을 이용하면 주소를 바꾸는 것도 어렵지 않더라고요. 👉︎ 카스퍼스키 VPN 무료 설치 바로가기 💻 명령어 없이도 바로 확인되는 IP주소 이전에는 윈도우에서 cmd 명령어창을 열고 ipconfig 를 입력해야 IP주소를 확인할 수 있었지만, 지금은 검색창에 'IP주소 확인'만 입력하면 바로 알 수 있습니다. 아래 이미지는 cmd창에서 IP주소를 확인하는 고전적인 방법을 이에요. 여전히 많이 사용하죠. 🔄 검색한 IP와 실제 IP가 다른 이유 네이버나 구글에서 확인한 IP주소와 내 컴퓨터에서 확인한 주소가 다를 수 있는데요.. 대부분 공유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통신사에서 부여한 외부 IP를 공유기가 내부 IP로 분배하기 때문에 그런 차이가 생기는 거죠. 아래는 네이버에서 'IP주소'라고 검색했을 때 보여지는 화면입니다. 🌍 내 IP 위치까지 확인하는 방법 IP주소를 넘어서 위치 정보까지 확인하고 싶다면, 'NordVPN'에서 제공하는 도구를 사용해보세요.지도 기반으로 도시, 지역, 통신사까지 꽤 정확하게 나옵니다. 아래 이미지는 NordVPN에서 IP 위치를 조회한 결과에요. 🛡️ VPN으로 IP주소 변경하는 방법 VPN을 사용하면 접속 위치를 우회해서 다른 나라 서버를 경유하게 되고, 이로 인해 IP주소도 완전히 바뀝니다. 그 대표적인 무료 VPN 중 하나가 '카스퍼스키 VPN'입니다. 아래는 카스퍼스키 VPN을 실행한 모습인데요.. 서버가 미국으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 VPN 사용 후 다시 IP 확인해보기 VPN을 켠 상태에서 다시 네이버에서 IP주소를 검색해보면, 원래 IP와는 다른 주소가 표시됩니...

고혈압, 130부터 위험할까? 2025년 기준·예방·식단까지 한눈에

이미지
'고혈압'이라 불리는 질병, 어느날 갑자기 칮아 오죠? 겉으론 건강해 보여도 속에선 천천히 망가뜨릴 수 있는 병이 바로 '고혈압'입니다. 그래서 '침묵의 살인자'라는 별명까지 붙었죠. 초기에는 증상이 거의 없어 방심하기 쉬운데요. 그대로 두면 심장병, 뇌졸중 같은 심각한 합병증 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고혈압의 정의부터 최근 기준 변화, 예방법, 치료법, 그리고 여러분께 도움 될 Q&A까지 한 번에 정리해보았어요. 📌 고혈압이란? 심장이 피를 온몸으로 보내기 위해 혈관에 압력을 가하는데, 이 압력이 정상보다 높아진 상태를 말해요. 수축기 혈압 ≥ 140mmHg 또는 이완기 혈압 ≥ 90mmHg (정상은 120/80mmHg 미만) 🔄 2025년 최신 진단 기준 변화 WHO  : 130/80mmHg 이상은 고혈압 1기로 조기 분류 권고. AHA/ACC  : PREVENT 모델 기반으로 위험도 따라 약물 치료 병행. 대한고혈압학회  : 국내 기준은 2026년 개정 예정. ⚠️ 증상: 대부분 초기엔 없음 두통, 어지러움. 코피. 시야 흐림, 피로감. → 증상이 없어도 주기적으로 혈압 측정은 필수입니다. 🔍 고혈압의 원인 본태성 고혈압 (90%)  : 유전, 비만, 나이, 스트레스. 이차성 고혈압 (10%)  : 신장·호르몬 질환. 생활습관 요인  : 짠 음식, 흡연·음주, 운동 부족 등. 💊 치료 방법 1️⃣ 생활습관 개선 체중 감량, 저염식 식사. 유산소 운동 (주 5일 이상). 금연, 절주, 스트레스 관리. 2️⃣ 약물 치료 칼슘통로차단제, ACE 억제제, 이뇨제, ARB 등. 최근엔 복합제(single-pill) 권장.   ...

스크린샷은 이렇게! 맥북 화면캡쳐 단축키 쉽게 익히기

이미지
윈도우만 쓰다가 맥북을 처음 사용하면 가장 먼저 막히는 기능이 ‘화면 캡쳐’입니다. 저도 처음엔 캡쳐 단축키를 몰라서 헤맸는데요, 알고 보니 몇 가지만 외우면 정말 간단했어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macOS 최신 기준으로 화면캡쳐 단축키와 저장 위치 변경 팁까지 한 번에 정리해볼게요. ▲ 맥북 키보드에서 사용하는 화면캡쳐 단축키 예시. 👉︎ 공식 애플 단축키 가이드 보기 🖥️ 전체화면 캡쳐: Shift + Command + 3 가장 기본적인 캡쳐 단축키입니다. 현재 보고 있는 화면 전체를 그대로 이미지로 저장해주는 긴ㅇ이죠. 웹페이지, PDF, 회의 자료 등 전체 스샷이 필요할 때 사용하면 좋아요. ▲ 전체화면을 그대로 저장한 예시. 📐 원하는 부분만 캡쳐: Shift + Command + 4 드래그해서 내가 원하는 영역만 지정해 캡쳐할 수 있습니다. 불필요한 부분 없이 꼭 필요한 것만 저장하고 싶을 때 유용해요. ▲ 원하는 부분만 선택해 깔끔하게 캡쳐한 예시. 📁 창 하나만 캡쳐: Shift + Command + 4 → Space 커서가 카메라 모양으로 바뀌고, 클릭한 창만 따로 저장할 수 있습니다. 정확히 하나의 앱 화면만 필요할 때 사용하면 딱이죠. ▲ 특정 창만 선택해서 저장한 예시. ⚙️ 여러 옵션 열기: Shift + Command + 5 이 조합을 누르면 하단에 메뉴가 뜨고, 다양한 캡쳐 모드와 화면 녹화까지 가능합니다. 저장 위치, 타이머 설정도 여기서 조절할 수 있어요. ▲ 화면 하단에 뜨는 다양한 옵션 메뉴 예시. 📂 저장 위치 바꾸기 기본 저장 위치는 바탕화면이지만, 옵션에서 '다른 위치'를 선택해 폴더를 지정할 수 있어요. 스크린샷만 따로 모아서 정리하고 싶다면 꼭 바꿔두세요. ...

놓치면 48만원 손해? 2025년 부양가족연금 제대로 챙기는 법

이미지
경기 침체와 고령화가 겹친 요즘, 국민연금 수급자라면 놓치지 말아야 할 부양가족연금. 나이 들수록 부모·자녀 등 부양 부담이 커지는데, 이 추가 수당을 챙기면 연 최대 48만원까지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만약 아직도 신청하지 않았다면, 아래 내용을 꼭 확인하세요~ 👉︎ 내 주변 국민연금 지사찾기 부양가족연금, 이게 뭔가요? 국민연금 수급자가 부양하는 가족(배우자, 미성년·장애 자녀, 부모)이 있으면 본인 연금과 별도로 추가 수당을 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 단, 가족의 소득 또는 본인 연금액과 상관없이 정액으로 지급돼 부담 완화에 실질적 도움이 됩니다. 2025년 현재 약 246만명이 수급 중입니다. 2025년 최신 정책 변화 지급 연령 상향  : 2025년부터 만 63세 이상만 신청 가능. 2033년엔 65세로 늘어날 예정. 지급 금액 인상 : 전년도 물가상승률 반영, 올해 2.3% 상승. 중복 수급·심사 강화  : 한 가족을 여러 수급자가 중복 신청 불가, 배우자나 자녀가 연금 수급자면 제외. 누가 받을 수 있나요? 대상 조건 배우자 법적·사실혼 배우자 모두 포함(가출·실종 등 부양관계 불명확시 제외), 공적연금 수급자는 제외 자녀 만 18세 미만, 또는 장애등급 2급 이상이면 연령 무관(양자·계자녀 포함, 실질 부양 필요) 부모 만 60세 이상(2033년 이후 65세), 또는 장애 2급 이상, 계부모·배우자 부모 포함(...

2025 아파트 매수, 집 살 때 꼭 살펴볼 6가지

이미지
아파트 매수는 단순한 계약이 아니라 앞으로 내 생활의 대부분을 바꿔놓는 결정입니다. 그래서 한 번에 수억 원이 오가는 순간 앞에서 누구든 주춤하게 되죠. 특히 2025년은 대출 여건과 세금, 하자보수 제도 등 주변 환경이 예전과 꽤 달라져서, 예전에 들은 이야기만 믿고 움직이기엔 위험할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초보자도 바로 써먹을 수 있게, '집 살 때 꼭 확인할 6가지'에 대해서 정리해보았습니다. 📌 올해 달라진 흐름, 한 줄로 요약 · 대출  : 수도권·규제지역은 대출 한도와 심사가 더 보수적으로 바뀌는 추세예요. 생애최초라도 지역·소득·다른 부채 상황에 따라 LTV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세금  : 생애최초 취득세 감면, 인구감소지역 특례 등 '조건 맞으면 혜택'이 더 또렷해졌어요. 대신 지역·금액·면적 같은 세부 요건이 중요합니다. · 하자  : 공동주택은 내력구조부(뼈대) 10년, 그 외 시설 2~5년 등 법정 하자담보 기간이 정해져 있어요. 기한 안에 정식 절차로 요청해야 제대로 처리됩니다. 👉︎ 실거래·시세·학군·교통 한 번에 보기 도심 속 대단지 뷰 – '입지'는 결국 시간을 이깁니다 🏢 1) 건물 상태, '겉 + 속' 모두 점검 겉은 말끔한데 지하주차장 천장에서 물이 떨어지거나, 옥상 방수가 오래돼서 갈라져 있는 경우가 의외로 많습니다. 관리사무소에서 최근 3년 보수 이력 , 엘리베이터 고장/정지 기록, 민원 처리 내역을 꼭 확인하세요. '하자보수 기간'도 꼭 챙기면 나중에 수리비 분쟁을 줄일 수 있어요. 참고로 공동주택은 뼈대에 해당하는 내력구조부는 10년 , 마감·설비 등은 2~5년 처럼 공종별로 기간이 다릅니다. 기간 내 공식 절차로 요청하면 사업주체가 책임지고 고쳐야 하는 영역이 분명해요. ...

the 경기패스 혜택, 2025년엔 뭐가 달라졌을까?

이미지
고금리, 고물가, 고유가라는 '3고 시대'에 교통비 부담은 생활비 중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특히 경기도는 광역버스, 신분당선, GTX 등 요금이 높아서 대중교통 지원정책의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되어 왔죠. 이런 상황에서 2024년 5월 시행된 'the 경기패스'는 시작부터 많은 관심을 끌었고요~  2025년 들어 혜택이 한층 강화되며 체감 효과가 커졌습니다. 👉︎ k패스 공식 안내 보기 경기패스는 단순 교통비 환급을 넘어 청년층 지원 확대, 환경 효과, 지역경제 활성화까지 이어지고 있고.. 2025년 7월부터는 환급 조건이 더 강화되어 사실상 '정기권'에 가까운 혜택이 제공되고 있습니다. the 경기패스 홍보 이미지 🚍 the 경기패스란? 국토교통부의 k패스를 기반으로, 경기도민에게 더 많은 혜택을 주기 위해 도입된 교통비 지원 정책입니다. 기본 원리는 대중교통을 일정 횟수 이상 이용하면 교통비 일부를 환급받는 구조죠. 지난 2024년 도입 당시에는 청년 연령 확대(19~39세)와 무제한 환급 조건으로 화제가 되었고, 2025년에는 더 큰 변화가 생겼어요. 스마트폰으로 경기패스 신청하기 ✨ 2025년 달라진 혜택 '월 이용 61회 이상' → 추가분은 전액 환급 (2025년 7월부터). '평균 환급액' → 월 2만 원, 연간 약 24만 원. '환경 효과' → 이산화탄소 22만 톤 감축. '경제 효과' → 지역경제 소비 1,072억 원 창출. 즉, 자주 타는 사람에게는 굉장히 유리한 제도가 된 셈이에요. 월 61회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한다면 사실상 '무제한 정기권'과 ...

경기도 난임부부 지원, 비용 부담 줄여주는 현실적인 방법들

이미지
경기도가 난임으로 어려움을 겪는 부부들의 경제적 부담을 덜고 출산율을 높이기 위해 지원 정책을 한층 강화했습니다. 기존에 시술비 지원 수준이었던 제도를 넘어서, 이제는 생식세포 동결·가임력 검진·심리 상담까지 다방면으로 확대된거죠. 지난 2024년부터 정부가 전국적으로 난임 지원 제도를 확대 시행하면서, 경기도는 자체 예산까지 더해 전국 최고 수준의 혜택을 제공하고 있는데요. 출산을 희망하는 부부가 '비용 때문에 포기하는 일'을 최소화하겠다는 취지입니다. 👉 경기도청 바로가기 아이를 기다리는 부부에게는 실질적 도움이 되도록 지원이 크게 늘어났습니다. 🧬 1. 생식세포 동결 및 보존비 지원 불임 가능성이 높은 도민을 위해 정자·난자를 얼려 보관하는 비용도 지원합니다. 의학적임 이유로 향후 임신이 어렵다고 판단되는 경우, 1년 차 보관비를 지원받을 수 있어요. · 남성 : 정자 냉동 및 1회 보관비 최대 30만 원. · 여성 : 난자 냉동 및 1회 보관비 최대 200만 원. 💉 2. 난자동결 시술 지원 난소 기능이 저하된 여성에게는 난자동결 시술 비용 일부를 도에서 지원합니다. · 지원 조건 : 경기도 6개월 이상 거주, 만 20~49세 여성, 기준 중위소득 180% 이하 · 지원 금액 : 사전 검사비+시술비 포함, 최대 200만 원(1회) 2025년 현재, 신청은 주소지 보건소에서 가능해요. 🧪 3. 가임력 검진 횟수 확대 기존 1회였던 가임력 검진 지원을 3회로 늘렸습니다. 난소 기능 검사·정자 형태 분석 등이 포함되고요. · 여성 최대 13만 원 / 남성 최대 5만 원. · 대상 : 20~49세 성인 누구나 (결혼 여부 무관). 👶 4. 난임 시술비 대폭 확대 난임 시술비 지원은 전국에서도 가장 큰 폭으로 확대되었습니다. · 지원 횟수 : 출산 1회 기준 최대 25회. · 2023년 성과 : 시술 55,953건, 수...

채널 안 넘어가는 KT 리모컨, 새로 안 사고 고친 방법

이미지
KT IPTV를 사용하다 보면 리모컨이 갑자기 말을 안 듣는 이상한 경험을 하게 됩니다. 특히 채널 변경 버튼이나 숫자 버튼만 반응하지 않고, 볼륨 조절만 멀쩡히 되는 경우가 흔하죠. 이런 상황을 겪으면.. 누구나 '리모컨이 고장 났네~ 새로 사야겠다'라고 생각하기 쉬운데요, 실제로는 간단하게 해결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저 역시도 몇 번 겪어봤고요, 아래 두 가지 방법만 시도해도 바로 정상 작동하더군요. KT IPTV는 현재 '지니TV(olleh tv)' 브랜드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 KT 고객센터 바로가기 셋톱박스 모델과 UI에 따라 메뉴 위치나 명칭이 약간씩 다를 수 있지만..공통적으로  '설정/고객지원/시스템 정보'  메뉴에서 채널 정보 업데이트 기능을 찾을 수 있으니까 꼭 참고하세요.(2025-08 기준) 🛠️ 1) 시스템 정보에서 ‘업그레이드/채널 정보 업데이트’ 실행 첫 번째 해결 방법은 셋톱박스에서 ' 시스템 업그레이드' 와 '채널 정보 업데이트' 를 실행하는 겁니다. 리모컨은 멀쩡한데 채널 정보가 꼬여서 입력이 막히는 경우가 많아요. 채널 변경이 안되길래 당황했었는데 이 방법으로 바로 해결했죠. 메뉴 이동은 간단합니다. TV에서 '설정 → 고객지원 → 시스템 설정 → 시스템 정보' 로 진입하면 됩니다. 거기서 두 가지 항목을 차례로 실행하세요. 볼륨은 되는데 채널만 안바뀌는 황당한 순간, 시스템 정보 갱신으로 풀린 경우도 많았습니다. 셋톱박스 메뉴에서 '시스템 정보' 항목을 찾아 들어가세요. 시스템 업그레이드와 채널 정보 업데이트를 차례대로 실행하면 오류가 쉽게 풀리는 경우도 있습니다. 🔌 2) 전원 분리 후 셋톱박스 재부팅 두 번째... 전원을 분리했다가 다시 연결해 재부팅하는 방법이에요. 전원 버튼이 없는 모델(M770 ...

건축물대장 무료열람·발급 방법, 표제부·전유부 차이 쉽게 이해하기

이미지
이 글은 건축물대장 무료열람·발급  방법에 대해서 한 번에 정리한 내용입니다. '건축물대장'은 간단히 말해서 '건물의 주민등록등본' 같은 문서에요. 본인 소유 여부와 상관없이 주소만 알면 누구나 인터넷으로 열람·발급할 수 있죠. 문서 내용에는 건물의 등록·승인 이력 , 소유자 , 용도 , 구조 , 면적 같은 핵심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데요. 매매·전·월세, 담보 대출, 리모델링·용도변경, 각종 인허가·신고, 세무·감리 등 실무에서 가장 먼저 요구되는 기초자료 가 바로 이 문서입니다. 👉︎건축물대장 바로 발급하기 ✅ 온라인으로 하는 게 좋은 이유 대부분의 온라인 민원은 무료 입니다. 집·사무실에서 몇 분이면 끝나고, PDF 저장까지 가능해요. 반대로 관공서 방문은 이동·대기 시간이 들고 수수료 가 발생할 수 있어 비효율적입니다. 제출처가 '온라인 발급 출력본'을 인정하는 경우가 많으니, 특별한 요구가 없다면 온라인 발급이 유리하죠. 📌 신청내용 입력 : 순서대로 하면 쉬움 정부24 접속 → 로그인 → 소재지 검색 → 대장구분 선택 → 대장 종류 선택 → 수령 방법 선택 순서로 진행합니다. 주소는 지번·도로명 모두 가능하고, 아파트 단지명으로도 검색됩니다. • 대장구분 : '일반' vs '집합' 일반 → 단독 건물(개인·대표자 명의). 단독주택·근린생활시설 등. 집합 → 공동주택(여러 명이 구분소유). 아파트·연립·다세대 등. 실무 팁 : 다가구주택은 보통 ‘일반’으로 조회, 아파트·연립·다세대는 '집합'으로 조회하면 정확해요. • 대장 종류 : 총괄 / 표제부 / 전유부 총괄 : 동일 지번에 2개 동 이상 일 때, 그 지번의 모든 동을 한 번에 표시(...

소방안전원 회비, 꼭 내야 할까? 2025년 납부와 혜택

이미지
소방회비는 정말 '의무'일까요? 많은 분들이 당연히 내야 한다고 생각하지만, 2025년 현재 기준으로 법적 강제 사항은 아니에요. 건물에 '소방안전관리자'가 선임되어 있어도 회비 납부는 '임의가입'에 따른 선택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이 비용을 내는 가장 큰 이유는 2년에 한 번 진행되는 법정 소방 실무교육 때문이에요. 회원으로 가입하면 이 교육비(비회원 55,000원)가 면제되거든요. 👉︎소방안전원 홈피 확인 하지만 숫자로 비교해보면 무조건 이득이라고 하기 어렵습니다. 연회비 48,000원을 2년간 납부하면 총 96,000원이지만, 비회원으로 교육비를 내면 55,000원으로 끝나요. 단순 계산만 놓고 보면 비회원이 더 저렴할 수 있죠. 소방회비, 의무가 아닌 이유 소방안전원 회원 가입은 '임의가입'이라 본인이 원하지 않으면 가입하지 않아도 됩니다. 탈퇴도 자유롭고, 불이익이 발생하지 않아요. 다만 매년 고지서가 우편으로 발송되기 때문에 '의무처럼 느껴지는 착시'가 있는 거에요. '회원은 소방 교육·연구·홍보 및 복지 서비스 혜택을 받을 수 있으며, 회비는 해당 활동에 사용됩니다.' 납부 방법은 홈페이지 결제, 가상계좌, 카드, 지로 모두 가능합니다. 영수증 발급, 교육 이수 내역 관리, 선임자 정보 확인 등 행정 편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는 점은 회원만의 큰 장점이죠. 회원 서비스와 혜택 법정 실무교육비 면제 (비회원 55,000원 부담). 재해위로금 (재해 발생 2년 이내 신청, 100만~500만원). 회원 또는 자녀 장학금 선발 (매년 8월 공고). 퀴즈 이벤트 및 상품권 지급. 전자도서관 무료 대여. ...

어제 비가 얼마나 왔는지? 기상청 강수량 조회법

이미지
장마철이나 갑작스러운 호우가 있었던 날, 실제로 얼마나 비가 왔는지 확인해야 할 때가 많죠. 교통 지연, 누수·침수, 일정 변경 등 생활에 직접 영향을 주기 때문에 기상청 과거날씨(강수량) 확인 방법을 미리 알아두면 진짜 유용합니다. 아래 순서대로 따라 하면 일강수량·시간당 강수량 을 빠르게 찾을 수 있어요. 👉︎ 기상청 날씨누리 바로가기 📌 1단계 : 메뉴 위치 잡기 기상청 홈페이지 왼쪽 사이드바에서 ‘관측·기후 → 육상’ 을 클릭하세요. 여기에서 도시별 관측, 지역별 상세 관측, 과거 관측 메뉴가 보이는데요.. 과거날씨 확인은 주로 ‘지역별 상세 관측’ 과 ‘과거 관측’ 에서 가능합니다. 🌧️ 2단계: ‘과거 관측’으로 달력형 일강수량 확인 과거 관측 을 열면 기본적으로  일별 자료가 표시됩니다.   달력처럼 1개월 단위로 보이기 때문에 날짜별 일강수량 과 평균·최고·최저 기온 을 한눈에 쉽게 확인할 수 있죠. 먼저..지역을 고르고 연·월·요소(강수량 등)를 선택하면 해당 월의 강수 상황을 한 번에 파악할 수 있습니다. 비가 집중된 날짜를 바로 확인할 수 있어요. 📍 3단계: ‘지역별 상세 관측’으로 시간당 강수량 확인 지역별 상세 관측 에서는 특정 관측소 기준으로 시간당 강수량 을 세밀하게 볼 수 있습니다. 같은 도시라도 관측소 위치에 따라 값이 달라질 수 있으니까, 내 위치와 가장 가까운 관측소 를 고르면 실제 체감과 더 가까워요. 이 메뉴는 최근 3일 데이터를 중점적으로 확인하고 싶을 때 유용한 방법입니다. ❓ 자주 묻는 질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