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난임부부 지원, 비용 부담 줄여주는 현실적인 방법들

📋 목차


    경기도가 난임으로 어려움을 겪는 부부들의 경제적 부담을 덜고 출산율을 높이기 위해 지원 정책을 한층 강화했습니다.

    기존에 시술비 지원 수준이었던 제도를 넘어서, 이제는 생식세포 동결·가임력 검진·심리 상담까지 다방면으로 확대된거죠.

    지난 2024년부터 정부가 전국적으로 난임 지원 제도를 확대 시행하면서, 경기도는 자체 예산까지 더해 전국 최고 수준의 혜택을 제공하고 있는데요.

    출산을 희망하는 부부가 '비용 때문에 포기하는 일'을 최소화하겠다는 취지입니다.


    👉 경기도청 바로가기



    아이를 기다리는 부부에게는 실질적 도움이 되도록 지원이 크게 늘어났습니다.


    🧬 1. 생식세포 동결 및 보존비 지원

    불임 가능성이 높은 도민을 위해 정자·난자를 얼려 보관하는 비용도 지원합니다. 의학적임 이유로 향후 임신이 어렵다고 판단되는 경우, 1년 차 보관비를 지원받을 수 있어요.

    · 남성 : 정자 냉동 및 1회 보관비 최대 30만 원.
    · 여성 : 난자 냉동 및 1회 보관비 최대 200만 원.


    💉 2. 난자동결 시술 지원

    난소 기능이 저하된 여성에게는 난자동결 시술 비용 일부를 도에서 지원합니다.

    · 지원 조건 : 경기도 6개월 이상 거주, 만 20~49세 여성, 기준 중위소득 180% 이하
    · 지원 금액 : 사전 검사비+시술비 포함, 최대 200만 원(1회)

    2025년 현재, 신청은 주소지 보건소에서 가능해요.


    🧪 3. 가임력 검진 횟수 확대



    기존 1회였던 가임력 검진 지원을 3회로 늘렸습니다. 난소 기능 검사·정자 형태 분석 등이 포함되고요.

    · 여성 최대 13만 원 / 남성 최대 5만 원.
    · 대상 : 20~49세 성인 누구나 (결혼 여부 무관).


    👶 4. 난임 시술비 대폭 확대


    난임 시술비 지원은 전국에서도 가장 큰 폭으로 확대되었습니다.


    · 지원 횟수 : 출산 1회 기준 최대 25회.
    · 2023년 성과 : 시술 55,953건, 수혜자 28,446명 (전년 대비 16.5%↑).
    · 임신 성공률 : 약 42.5%.

    시술 중단 시 발생하는 의료비도 횟수 제한 없이 50만 원 한도 지원되고요~ 이 제도는 경기도가 선도적으로 시행했고, 지금은 정부가 전국적으로 확대 적용 중이에요.


    💟 5. 심리 상담과 교육 지원

    육체적 지원뿐 아니라 정서적 안정도 지원합니다. 경기도 내 상담센터와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부부가 함께 준비할 수 있어요.

    · 심리 상담 : 인구보건복지협회 경기지회, 동국대일산병원.
    · 교육 프로그램 : 북부센터 중심, 임신·출산 교실 운영.


    📌 6. 그 밖의 다양한 지원

    · 체외수정·인공수정 시 30만~110만 원 의료비 지원.
    · 냉동난자 해동 시술, 부부당 최대 2회(1회 최대 100만 원).


    🔮 7. 경기도의 향후 계획

    유영철 보건건강국장은 "난임으로 어려움을 겪는 분들이 임신·출산 과정에서 장벽을 덜 느끼도록 정책을 점진적으로 확대하겠다"고 밝힌바 있죠.

    앞으로도 더 많은 지원이 추가될 예정이며, 신청과 세부 내용은 각 보건소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 보건소 바로가기

    💬 자주 묻는 질문

    Q. 지원 신청은 어디서 하나요?


    A. 주소지 보건소에서 가능하며, 온라인으로는 ‘보건소 건강e누리(e-health)’ 사이트에서도 안내받을 수 있습니다.


    Q. 소득 기준을 초과하면 전혀 지원이 안 되나요?


    A. 일부 항목은 소득 기준과 무관하게 지원됩니다. 예를 들어 가임력 검진 지원은 조건 없이 신청 가능합니다.


    Q. 정부 지원과 중복 신청이 가능한가요?


    A. 네. 정부 지원과 경기도 자체 지원은 중복 신청이 가능하며, 실제로 많은 부부가 두 제도를 함께 이용하고 있습니다.


    ✅ 마무리

    경기도 난임부부 지원은 단순히 시술비 지원을 넘어, 임신 준비 전 단계부터 심리적 안정까지 포괄하는 종합 프로그램으로 확대되었습니다.

    출산을 희망하는 부부라면 지금 살고 있는 지역 보건소를 통해 꼭 상담을 받아보시길 권장드려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