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경제인 게시물 표시

포모코 앱 바이낸스로 리플 출금 후기

이미지
앱테크 하시는 분들 정말 많으시죠? 꾸준히 모은 포인트를 현금으로 출금하거나 다른 포인트로 전환하기도 하는데, 가상화폐로 출금이 가능한 앱도 꽤 있더라고요. 포모코(포인트 모아 코인받자)라는 앱도 그 중 하나인데, 이 앱은 포모코에서 바이낸스로 리플 전송이 가능합니다. 대부분의 앱테크가 그렇듯이 '티끌모아 태산'이죠. 이번에 포모코에서 바이낸스 거래소로 리플을 출금해봤는데, 실제 결과가 어땠는지 알려드리려고 해요. 일단 실제로 출금이 확실히 됩니다. 👉︎ 포모코 무료 다운로드 ⚠️ 주의사항 : 가상화폐 거래는 높은 위험성을 동반하며, 투자 손실 가능성이 있습니다. 본 글은 개인 경험을 바탕으로 한 사용 후기이며, 투자 권유가 아니에요. 바이낸스에서 리플 지갑 주소 생성하는 법 정말 오래간만에 접속한 바이낸스 거래소 앱이에요. 예전에 라이트 코인이 상폐되는 바람에 이 거래소로 옮겨두긴 했는데, 예전 금액을 회복하지 못해서 그냥 방치해둔 상황이었어요. 어쨌든 바이낸스 거래소로 리플 코인을 전송하기 위해서는 전용 지갑주소를 발급받아야 하는데, 바이낸스 앱의 하단부 메뉴 'Wallets'을 터치하고 Deposit을 선택하세요. 상단에 보이는 검색창에 xr이라고 입력해보면 리플 코인(XRP)이 바로 나타나요. 터치하면 다음 단계로 넘어갑니다. 지갑을 만들 수 있는 네트워크가 총 4가지가 보이는데, 제일 위에 보이는 Ripple을 선택하셔야 해요. 혹시라도 엉뚱한 네트워크를 선택해서 만들어진 잘못된 지갑 주소로 리플 코인을 보내게 되면 다시는 찾을 수 없으니까 이 과정은 정말정말 주의해야 할 부분입니다. 네트워크를 선택하면 아주 복잡한 주소와 태그 번호가 생성되는데, 이 부분을 복사해서 '포모코'의 출금주소에 그대로 붙여 넣으세요~ 포모코 출금 과정과 수수료 확인 포모코 앱의 메인 화면이에요. 제일 위를 보시면 리플 코인의 실시간 ...

국민은행 증권사 우편물 수령 거부한 결과

이미지
증권사 우편물 수령 거부를 인터넷을 통해 하려면 절대 한 곳에서 할 수 없어요. 총 3곳으로 나뉘는데요. 그중 하나가 '국민은행' 입니다. 증권사 대행업무를 은행에서 하고 있다는 사실도 조금 의아하긴 하지만 주주의 입장에서 우편물 수령을 적극 거부하고자 한다면 국민은행을 통하는 방법밖에 없어요. 보유한 주식의 명의개서대행회사가 '국민은행'인 경우만 해당되는 사항이고요. '하나은행'이나 '한국예탁결제원'은 따로 거부신청을 하셔야 해요. 👉︎KB스타뱅킹 앱 다운로드 KB스타뱅킹 앱부터 깔아야 해요 "나는 국민은행 계좌도 없는데 로그인을 어떻게 하라는 거냐?"고 반문하실 수 있는데 은행을 가지 않고도 얼마든지 비대면 계좌를 앱을 통해 개설할 수 있어요. 위 화면에 보이는 KB스타뱅킹 앱을 설치하면, 뱅킹회원 또는 간편회원 가입하기 메뉴가 나올 텐데요. 국민은행 증권사 우편물 수령 거부는 PC화면에서만 가능하기 때문에, 뱅킹회원으로 가입하셔야 합니다. 모바일 신분증 등의 본인인증을 통해 뱅킹회원은 얼마든지 될 수 있어요. 타은행 계좌인증 등 번거로운 과정도 있지만 그 점은 감안하셔야 하고요. PC에서 국민은행 홈페이지 로그인하기 앱을 통해 뱅킹회원이 되었다면 QR코드 인증으로 로그인하는 방법이 제일 편리해요. 홈페이지 검색창에 '우편물'을 검색해보면 개인이 아닌 '기업'뱅킹 화면으로 연결되는데 전혀 상관없으니 걱정하실 필요 없고요. 좀 헷갈리긴 하지만 그냥 따라가시면 됩니다. KB국민은행 증권대행사업부에서 보내는 우편물 수령 거부 서비스예요. 국민은행 홈페이지에 개인뱅킹에 로그인된 상태로 '서비스 이용하기' 버튼을 누르면 되고요. 체크 하나만 하면 끝 위 화면처럼 동의 여부를 체크하고 등록/변경하기 버튼만 누르면 끝나요. 진짜 간단해요. 하나...

새마을금고 진짜 괜찮을까? 1억원 보장 시작했지만 여전히 불안한 이유

이미지
2025년 9월부터 새마을금고 예금자보호 한도가 1억원으로 상향 되었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뱅크런 위기설과 각종 금융사고 소식이 끊이지 않고 있죠. 과연 내 소중한 예금은 안전할까요? 🚨 2025년 10월 최신 현황 금융사고 440억원 발생 | 징계 임직원 358명 급증 | 예금자보호 1억원 확대 👉︎새마을금고 공식 홈페이지 확인하기 2023년 뱅크런 사태 이후 새마을금고는 나름대로 안정화 노력을 해왔다고 하는데요.. 2025년 들어서도 여전히 우려스러운 소식들이 계속 나오고 있습니다. 정확한 현황을 파악해볼까요? 뱅크런의 의미와 위험성 '뱅크런'이란.. 금융기관의 부실이 알려지면서 예금자들이 동시에 몰려가 돈을 빼는 현상을 이야기 합니다. 한번 시작되면 연쇄반응으로 확산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위험하죠. 위 사진은 영화 '국가부도의 날'에서 1998년 IMF 외환위기 당시 뱅크런 상황을 재현한 장면이에요. 수많은 사람들이 은행에 몰려 돈을 찾으려는 모습을 통해 당시의 혼란을 간접 체험할 수 있었죠. 2025년 새마을금고 최신 현황 🚨 심각해진 금융사고 현황 2025년 상반기까지 금융사고  : 440억원 (74건) 2024년 징계 임직원  : 358명 (2023년 207명에서 급증) 동일인 한도초과 대출  : 2020년 459억 → 2024년 4,033억원 (9배 증가) 상황이 생각보다 심각해요. 특히 동일인 한도초과 대출이 급격히 늘어난 것은 내부 통제 시스템에 문제가 있다는 뜻이죠. 그런데 다행히 예금자 보호는 더욱 강화되었습니다. 예금자보호 1억원 상향의 의미 ✅ 2025년 9월 1일부터 적용 이전  : 예금자 1인당 최대 5천만원 보호 현재  : 예금자 1인당 최대 1억원 보호 상환준비금  : 예치비율 80% 이상으로 강화 2025년 상반기 기준  : 총자산 288조4천억원, ...

하나은행 증권사 우편물 거절 방법 (온라인 3분 완료)

이미지
증권사에서 보내오는 각종 우편물 때문에 스트레스 받으시는 분들 정말 많으시죠? 배당금 알림, 주주총회 소집통지서, 사업보고서 등등... 받아봐야 어차피 잘 모르겠고, 그냥 쌓여만 가더라고요. 몇 년 전까지는 이런 우편물을 거절하려면 증권사에 일일이 전화하거나 직접 방문해야 했는데, 지금은 온라인으로 간단하게 처리할 수 있어요. 특히 하나은행에서 증권대행업무를 하는 회사들의 우편물은 정말 쉽게 거절할 수 있답니다. 👉︎하나원큐 앱 다운로드 여기서는...'하나은행'에서 증권대행업무를 처리하는 회사들의 우편물을 온라인으로 거절하는 방법을 알려드릴게요. 증권사가 아닌 은행에서 이런 업무를 대행한다는 것도 신기하긴 하지만, 덕분에 우리는 더 편리하게 처리할 수 있어요. 하나은행 계좌 없어도 가능해요 하나은행에 기존 계좌가 있고 인증서도 발급받으셨다면 정말 일사천리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계좌가 없으셔도 걱정하지 마세요. 하나원큐 앱을 이용하면 되니까요. 위 화면(아이폰 기준)에서 '전자금융가입 안내' 페이지가 나오면 '시작하기'가 아닌 그 바로 밑의 '조회회원으로 가입'을 누르세요. 이게 바로 핵심입니다. 가입을 진행하고 간편 인증을 설정하면 하나은행 홈페이지에서 로그인할 수 있게 됩니다. 저같은 경우는 이렇게 했더니 하나은행에 계좌가 있다는 사실도 알게되었죠. 그래서 아예 인터넷뱅킹 회원으로 제대로 가입했죠. 어차피 나중에 필요할 수도 있으니까요. 하나은행 홈페이지에서 우편물 거절 설정하기 하나은행 홈페이지에 로그인한 후 상단 메뉴에서 '조회 → 기타조회 → 증권대행업무'를 차례대로 선택하세요. 메뉴가 좀 깊숙이 숨어있긴 하지만 찾을 수 있을 거예요. ✅하나은행 증권대행 업무 바로가기 생각보다 정말 간단해요 그러면 바로 '우편물 수취 거절' 페이지로 이동돼요. 하나은행은 조금 특이하게도 한국예탁결제원이나 국민은...

뉴욕증시에 나타난 스태그플레이션 5가지 위험신호

이미지
2025년 9월, 뉴욕증시에 불길한 그림자가 드리워지고 있습니다. 비즈니스인사이더가 긴급 보고서를 통해 "뉴욕증시에 5가지 스태그플레이션 신호가 올랐다"고 경고하면서 투자자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어요. 더 놀라운 건 이런 우려 속에서도 뉴욕증시 3대 지수가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다는 사실 입니다. 과연 이 상반된 신호들을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요? 정말 스태그플레이션이 현실화되고 있는 건지, 아니면 과도한 우려인지 살펴보겠습니다. 스태그플레이션이란 무엇이고 왜 두려워하나 스태그플레이션은 경기 침체(Stagnation)와 물가 상승(Inflation)을 합친 말로, 경제학에서 최악의 시나리오로 불립니다. 보통 경기가 나빠지면 물가가 안정되는 게 정상인데, 스태그플레이션은 정반대로 경기도 나쁘고 물가도 오르는 상황이에요. 1970년대 미국이 겪었던 스태그플레이션을 보면 그 심각성을 알 수 있어요. 당시 석유파동으로 에너지 가격이 급등하면서 물가가 치솟았는데, 동시에 경기는 침체되어 실업률도 높아졌거든요. 국민들은 일자리는 줄어드는데 생활비는 계속 오르는 이중고를 겪어야 했죠. 스태그플레이션의 특징을 정리하면... 높은 실업률과 경제 성장 둔화. 지속적인 물가 상승과 생활비 부담 증가. 정책적 딜레마 (경기 부양 vs 물가 안정). 소비자 신뢰도 급락과 투자 심리 위축. 2025년 9월 뉴욕증시에 나타난 불길한 신호들 BCA 리서치는 최근 보고서를 통해 "12개월 시계열에서 스태그플레이션의 '플레이션'보다 '스태그' 부분이 더 우려스럽다"며 "이미 미니 스태그플레이션은 일어나고 있다"고 경고했어요. 현재 미국 경제에서 나타나고 있는 주요 신호들을 보면 고용 부진 지속 : 8월 고용지표가 예상보다 더 차가웠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어요. 물가 상승 압력 : 8월 소비자물가지수가 예상보다 더 뜨거웠어요. 개인소비 둔화 :...

엠디바이스 상장 성공! 공모가 대비 260% 급등 현재 상황

이미지
엠디바이스가 2025년 3월 코스닥 상장에 성공한 지 벌써 6개월이 지났네요. 당시 공모가 8,350원으로 시작했는데, 지금은 2만원대까지 올라가면서 투자자들에게 큰 수익을 안겨주고 있습니다. 반도체 스토리지 전문기업인 엠디바이스의 공모주 청약부터 상장 후 현재까지의 상황을 상세히 정리해드리고자 합니다. 특히.. 최근 실적 개선이 주가 상승의 주요 동력이 되고 있네요. 👉︎엠디바이스 공식 홈페이지 보기 엠디바이스 기업 개요 엠디바이스는 2009년에 설립된 SSD(Solid State Drive) 전문기업입니다. 개인용 및 기업용 SSD를 설계부터 제조, 조립, 검사, 판매까지 전 과정을 자체적으로 수행하는 역량을 갖추고 있죠. 최근에는 기업용 SSD 비중을 높이면서 AI 데이터센터 향 eSSD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으며~ 2025년에는 자회사도 설립하며 사업 영역을 확장하고 있고요. 공모주 청약 결과와 경쟁률 엠디바이스의 공모주 청약은 정말 뜨거운 관심을 받았는데.. 아래 실제 결과를 보면 그 인기를 확실히 알 수 있습니다. 구분 기관 수요예측 일반 청약 진행 기간 2025. 2. 12 ~ 18 2025. 2. 24 ~ 25 참여 규모 1,896개 기관 161,151건 경쟁률 1,366.65:1 1,696.19:1 증거금 - 약 2조 2,307억원 기관 투자자들의 97.5%가 상단 이상 가격을 제시했고, 이에 따라 공모가가 희망 범위 상단인 8,350원으로 확정되었습니다. 당시에.. 일반 투자자들의 관심도 엄청나서 2조원 넘는 증거금이 몰렸었죠. 상장 후 주가 급등과 현재 상황 2025년 3월 7일 코스닥 상장 이후에 엠디바이스 주가는 꾸준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공모가 : 8,350원. 2025년 9월 현재 주가 : 약 21,800원. 공모가 대비 수익률 : 약 260%. 52주 최고가 : 21,800원. 52주 최저가 : 7,650원...

청년도약계좌 가입하고 정부지원금 받는 꿀팁 공개

이미지
2025년 청년도약계좌가 작년보다 훨씬 좋아졌다는 소식 들으셨나요? 저도 처음에는 '또 정부 정책이구나' 했는데, 실제로 알아보니 진짜 혜택이 대박이더라구요. 매월 저축하면 정부가 최대 3만3천원까지 추가로 넣어주니까 안 할 이유가 없죠. 게다가 올해부터는 신용점수까지 올려준다고 해서, 주변 친구들 사이에서 완전 핫한 상품이 되었습니다.  그런데..막상 어떻게 가입하는지 모르는 분들이 많아서 직접 경험한 내용을 정리해드릴게요. 👉︎실시간 바로 접수하기 이번 포스팅에서는 청년도약계좌 최신 정보부터 실제 가입 과정까지 속속들이 알려드리겠습니다. 2025년 청년도약계좌 업그레이드된 점 청년도약계좌는 19세부터 34세까지 청년들이 매월 저축하면, 정부에서 추가 기여금을 지원해주는 제도입니다. 2025년부터는 혜택이 확 늘어났어요. 가장 큰 변화는 월 납입한도가 50만원에서 70만원으로 늘었다는 점입니다. 그리고 정부 기여금도 월 최대 3만3천원까지 받을 수 있게 되었죠. 여기에 신용점수 5-10점 가점까지 주니까, 진짜 일석이조에요.. 2025년 하반기부터는 부분인출도 가능해져서 갑작스럽게 돈이 필요할 때도 안심이고요. 가입 조건 정확히 확인하기 2025년 기준으로 가입 조건이 좀 더 완화되었네요. 실제로 확인해본 정확한 조건들을 정리해보겠습니다. 구분 2025년 기준 나이 19세 이상 34세 이하 대한민국 국적 청년 소득 기준 총급여액 7,500만원 이하 (모든 소득구간 가입 가능) 가구소득 중위소득 250% 이하 (추가 혜택 대상) 월 납입 월 1천원~70만원 자유선택 가입 기간 최소 2년 이상 유지 소득 기준이 7,500만원까지로 올라가서 웬만한 사람들은 다 가입할 수 있습니다. 저같은 프리랜서도 문제없이 신청할 수 있었어요. 온라인 신청이 제일 간편해요 저는 온라인으로 신청했는데, 정말 편하더라구요. 은행 가서 대기할 필요 없이 집에서 10분이면 ...

넥스트레이드 6개월~ 하루 10조 거래하다 제동 걸렸네

이미지
2025년 3월 4일, 드디어 한국 첫 번째 대체거래소 '넥스트레이드'가 문을 열었습니다~ 그리고 6개월이 지난 지금, 정말 놀라운 일들이 벌어지고 있는데요. 한국거래소 70년 독점 체제를 흔들만큼 급성장했거든요. 지난 6월에는 하루 거래대금 10조원을 찍으면서 전체 시장의 30%를 차지하기도 했습니다. 정말 대단한 성과죠? 👉︎넥스트레이드 바로 접속하기 넥스트레이드 6개월, 예상보다 훨씬 대박났다 솔직히 처음에는 이게 "과연 잘 될까?" 하는 회의적인 시각도 많았어요. 그런데 결과는 대성공이었습니다. 2025년 6월 기준으로 일평균 거래량이 약 3억주, 거래대금이 약 10조원에 달했죠. 이게 얼마나 대단한 수준인지 감이 안오실 수도 있는데, 전체 시장 거래량의 15%, 거래대금의 30%를 차지한 거예요. 해외 사례와 비교해봐도 정말 이례적인 성장세라고 합니다. 일본은 2000년대 초부터 대체거래소를 운영했는데, 무려 10년 넘게 정체기를 겪다가 최근에서야 9.8% 점유율을 달성했거든요. 호주도 마찬가지고요. 그런데 우리는 불과 3개월 만에 이런 성과를 냈으니, 정말 놀라운 일이죠. 하지만 9월 들어서 제동이 걸렸다 그런데 9월 들어서는 상황이 좀 달라졌어요. 법적 규제 때문에 브레이크가 걸린 거죠. 자본시장법에 따르면 대체거래소의 거래량이 한국거래소의 15%를 넘으면 안 된다는 규정이 있습니다. 넥스트레이드가 너무 잘되다 보니.. 이 15% 룰에 걸린 거예요. 그래서 어쩔 수 없이 8월부터 단계적으로 거래종목을 줄이기 시작했어요. 처음에는 716개 종목이었는데, 지금은 650개로 축소되었고요. 9월 1~15일 기준으로 일평균 거래대금도 6조7천614억원으로 전월 대비 6.6% 감소했습니다. 좀 안타깝긴 하지만, 법적 규제니까 어쩔 수 없는 상황이죠. 그래도 여전히 강력한 장점들 비록 제동이 걸렸다고 해도, 넥스트레이드만의 확실한 장점들은 여전히 유효...

마래푸 또 신고가 24억 찍었네요

이미지
마포래미안푸르지오 때문에 요즘 부동산 커뮤니티가 난리입니다. 일명 '마래푸'라고 불리는 이 아파트가 2025년 9월에 또 신고가를 기록하면서 화제가 되고 있거든요. 59㎡가 20억 6천만원, 84㎡가 24억 7천만원에 거래되면서 역대 최고가를 경신했네요. 서울 서북부를 대표하는 대단지로 자리 잡은 마래푸가 왜 이렇게 계속 오르고 있는 건지? 실제 사는 사람들은 어떻게 생각하는지? 현재 상황을 바탕으로 알아보았습니다. 👉 부동산 세력권이 뭐길래? 마래푸가 또 신고가 경신한 이유 마포래미안푸르지오는 서울 마포구 마포대로 195에 있는 엄청 큰 아파트 단지예요. 2014년 9월에 준공되었고 총 3,885세대나 되는 메가 단지죠. 24평부터 57평까지 다양한 평형대가 있어서 선택의 폭도 넓고요. 2025년 9월 4일에 59㎡(24평)가 20억 6천만원에, 9월 2일에는 84㎡(34평)가 24억 7천만원에 거래되면서 또다시 역대 최고가를 기록했습니다. 2024년 대비 상당한 상승폭이죠. 가장 큰 장점은 역시 교통이에요. 5호선 애오개역이 바로 앞에 있고, 2호선 아현역도 가까워서 더블 역세권의 혜택을 누릴 수 있거든요. 특히 공덕역에서는 5호선, 6호선, 공항철도, 경의중앙선까지 4개 노선을 이용할 수 있으니까 서울 어디든 금방 갈 수 있어요. 대단지라서 커뮤니티 시설도 잘 갖춰져 있고, 주변에 편의시설과 교육시설도 많아서 살기 좋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무엇보다 마포구의 상징적인 아파트로 자리 잡으면서 브랜드 가치가 계속 높아지고 있고요. 2025년 현재 집값 현황 2025년 9월 현재 인스타그램 부동산 정보에 따르면 마래푸의 시세는 다음과 같아요. - 24평(59㎡) : 매매가 22.5억원, 전세가 8.5억원 (갭 14억원). - 34평(84㎡) : 매매가 28억원, 전세가 11.5억원 (갭 16.5억원). 이는 2023년 초 16.5억원에서 시작해서 불과 2년 만에 6억원 이상 오른 셈이에요. 특히 주목...

5천만 원, 내 돈 vs 대출

이미지
갑자기 큰 금액이 필요할 때, 우리는 보통 두 가지 문제로 고민합니다. 내 계좌의 5천만 원을 조금씩 인출해서 쓸지?  아니면 은행에서 단기 대출을 받아 쓰고 갚을지? 바로  이런 문제죠. 표면적으로는 내 돈을 쓰는 편이 이자 부담이 없어 좋아 보이지만, 실제로는 금융 흐름과 세무 리스크 에서 차이가 큽니다. 이 글은  카카오뱅크 단기 신용대출 사례를 중심으로 '현금 인출 vs. 5천만 원 대출' 비교, 자금세탁 의심(CTR/STR) , 증여세 , 자금출처 소명 등 고액 자금을 다룰 때 알아두면 좋은 포인트를 정리한 내용이에요. 💳 카카오뱅크 5천만 원 대출, 1개월 내 상환 시 이자와 조건 앱 기반 비대면 신용대출을 기준으로, 한도/금리/수수료 등을 확인해보면.. 대출한도 : 최대 1억 5천만 원. 금리 범위 : 연 5.05% ~ 7.25% (신용점수에 따라). 중도상환수수료 : 없음. 신청 방식 : 모바일 앱 100% 비대면. 1개월 상환 기준 '예상 이자'(5천만 원) 4.5% : 약 187,500원. 5.5% : 약 229,167원. 6.5% : 약 270,833원. 간단 계산식 : 원금 × 연이자율 × (경과일수/365) 주의 : 카카오뱅크는 설문 기반 사전심사를 하기 때문에.. 입력 정보가 부정확하면 신용이 높아도 대출이 불가능해질 수 있어요. 그래서  정확·일관 입력 이 중요합니다. 💰 대출 대신 '내 돈 현금화'는 안전할까? 계좌에 있는 5천만 원을 하루 몇 백만 원씩 나눠 인출하고, 한 달 뒤 다시 입금하는 방식은 이자 부담은 없지만 아래와 같은 리스크가 있어요. 자금세탁방지(AML) 관점 현금 1천만 원 이상 입출금 시 자동보고(CTR). 반복·분산적 입금 패턴은 STR(의심거래보고) 사유 해당 가능. ...

2025 아파트 매수, 집 살 때 꼭 살펴볼 6가지

이미지
아파트 매수는 단순한 계약이 아니라 앞으로 내 생활의 대부분을 바꿔놓는 결정입니다. 그래서 한 번에 수억 원이 오가는 순간 앞에서 누구든 주춤하게 되죠. 특히 2025년은 대출 여건과 세금, 하자보수 제도 등 주변 환경이 예전과 꽤 달라져서, 예전에 들은 이야기만 믿고 움직이기엔 위험할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초보자도 바로 써먹을 수 있게, '집 살 때 꼭 확인할 6가지'에 대해서 정리해보았습니다. 📌 올해 달라진 흐름, 한 줄로 요약 · 대출  : 수도권·규제지역은 대출 한도와 심사가 더 보수적으로 바뀌는 추세예요. 생애최초라도 지역·소득·다른 부채 상황에 따라 LTV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세금  : 생애최초 취득세 감면, 인구감소지역 특례 등 '조건 맞으면 혜택'이 더 또렷해졌어요. 대신 지역·금액·면적 같은 세부 요건이 중요합니다. · 하자  : 공동주택은 내력구조부(뼈대) 10년, 그 외 시설 2~5년 등 법정 하자담보 기간이 정해져 있어요. 기한 안에 정식 절차로 요청해야 제대로 처리됩니다. 👉︎ 실거래·시세·학군·교통 한 번에 보기 도심 속 대단지 뷰 – '입지'는 결국 시간을 이깁니다 🏢 1) 건물 상태, '겉 + 속' 모두 점검 겉은 말끔한데 지하주차장 천장에서 물이 떨어지거나, 옥상 방수가 오래돼서 갈라져 있는 경우가 의외로 많습니다. 관리사무소에서 최근 3년 보수 이력 , 엘리베이터 고장/정지 기록, 민원 처리 내역을 꼭 확인하세요. '하자보수 기간'도 꼭 챙기면 나중에 수리비 분쟁을 줄일 수 있어요. 참고로 공동주택은 뼈대에 해당하는 내력구조부는 10년 , 마감·설비 등은 2~5년 처럼 공종별로 기간이 다릅니다. 기간 내 공식 절차로 요청하면 사업주체가 책임지고 고쳐야 하는 영역이 분명해요. ...

바이낸스 Earn, 투자자들이 꼭 확인해야 할 장점과 주의사항

이미지
암호화폐 시장이 커지면서 단순히 코인을 보유하는 것만으로는 만족하기 어렵다고 느끼는 분들이 많아요. 그런 투자자들을 위해 세계 최대 거래소인 바이낸스 는 ' Earn' 이라는 별도 메뉴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 서비스는 보유한 암호화폐를 다양한 금융 상품에 예치해 추가 수익을 창출할 수 있도록 도와주죠. 2025년 현재, 바이낸스 Earn은 단순 예치 상품부터 탈중앙화 금융(DeFi) 연계 상품까지 종류가 훨씬 다양해졌습니다. 하지만 규제 환경이 점점 강화되고 있어서, 투자 전에 반드시 최신 조건과 정책 확인이 꼭 필요합니다. 👉 바이낸스 공식 바로가기 바이낸스 Earn은 암호화폐를 단순 보관하는 것보다 더 높은 수익을 얻도록 도움을 줍니다. 💡 바이낸스 Earn 주요 상품 1) Simple Earn : 가장 기본적인 예치 상품이에요. 예치 기간은 ‘유동적(Flexible)’과 ‘고정적(Fixed)’으로 나뉘는데요.. 유동적은 자유로운 입출금이 가능하지만 이율이 낮고, 고정적은 기간을 묶는 대신 더 높은 이율을 제공하죠. 2) 스테이킹(Staking) : 지분증명(PoS) 기반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해 보상을 받는 방식입니다. 예치한 코인은 네트워크 운영에 기여하고, 그 대가로 추가 코인을 지급받습니다. 3) DeFi 스테이킹 : 복잡한 탈중앙화 금융 참여 과정을 바이낸스가 대신 처리해주는 방식이에요. 사용자는 단순히 예치만 하면 되니 편리합니다. 4) BNB Vault : 바이낸스의 자체 토큰인 BNB를 활용해 여러 상품에 자동 분배해주는 복합형 상품입니다. 스테이킹·런치풀·세이빙스가 통합돼 있어 수익 극대화를 노릴 수 있죠. 🚀 장점은 무엇일까? · 다양성 : 투자 성향에 따라 안정형부터 고수익형까지 선택 가능. · 편리성 : DeFi 참여 절차를 단순화, 클릭 몇 번으로 수익 창출. · 유동성 : 유동형 상품은 언제든 입출금 가능해 시장 변화에 빠르...

가상자산 세금, 왜 또 미뤄졌을까? 2027년부터 달라지는 현실

이미지
한국의 세금 정책을 보면 언제나 '세수를 확보하느냐'가 최우선이었던 것 같네요. 금융투자 과세와 가상자산 과세 논의도 상당한 기간 오락가락했고, 그 사이 투자자들은 기준이 대체 뭔지 정말 혼란스러웠죠.  2025년 8월 현재 기준으로 보면 금융투자소득세는 결국 폐지되었고, 가상자산 과세는 시행 시점이 2027년 1월로 미뤄진 상태입니다. 원래 2025년 1월부터 시작하기로 했던 과세가 2년 더 연기된 건데요. 정부는 "세무 인프라를 정비하고 납세 편의를 고려해야 한다"는 명분을 내세웠죠. 거래소별 원천징수 체계, 해외거래·디파이 거래의 신고 방식까지 현실적으로 준비가 필요했기 때문이라는 설명이 뒤따랐습니다. 하지만 투자자들 입장에서는 제도가 완전히 바뀐 것도 아니고 단순히 '시간만 벌게 했다'는 느낌이 강합니다. 👉︎ 가상자산 세금 제도 확인 2025년 현재 상황 정리 가상자산 과세 : 2027년 1월 1일부터 시행 예정. 연 250만 원 기본공제, 초과분은 국세 20% + 지방세 2%로 합계 약 22% 부과. 금융투자소득세 : 2025년 도입 예정이었지만 폐지 확정. 주식 세제는 기존 구조를 보완하는 방향으로 전환. 비트코인 ETF : 해외는 활발히 운용 중, 한국은 도입 로드맵 검토 단계. 실제 상장·거래는 미정. 왜 형평성 논란이 끊이지 않을까? 주식 투자자와 코인 투자자 모두 시장 변동성을 감수하고 있지만, 제도는 다릅니다. 주식은 세 부담을 줄여주면서 코인은 그대로 과세가 남아 있다 보니 ‘과세 차별’이라는 불만이 나와요. 특히 코인 투자층의 주력이 20~30대라 정치적 불만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죠. 대선 때 언급됐던 '코인 수익 5천만 원 비과세' 같은 공약은 실현되지 않았습니다. 실제 법령은 여전히 공제 250만 원, 세율 약 22% 구조에요. 그래서 투자자 입장에서는 정책 신뢰도가 떨어질 수밖에 없어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