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의 10명 중 4명만 복귀했는데 정상화라고?
정부가 전공의 복귀를 선언하며 의료 정상화를 외치고 있지만, 들여다보면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문제들이 산더미입니다. 2025년 9월 발표된 하반기 전공의 모집 결과가 이 사실을 적나라하게 보여주고 있죠. 숫자로 보는 복귀의 민낯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2025년 하반기 전공의 모집 결과를 보면, 전체 1만3498명 모집에 7984명이 선발되어 복귀율은 59.1%에 그쳤습니다. 절반도 넘지 못한 수준이에요. 더 심각한 건 과목별 격차입니다. 영상의학과는 16.9%가 복귀했지만, 정작 응급실을 지켜야 할 응급의학과는 겨우 3.5%만 돌아왔어요. 외과도 5%에 못 미치는 수준입니다. 전체 전공의 규모는 1만305명으로 예년 대비 76.2% 수준을 회복했다고 하지만, 이것도 평균의 함정이에요. 필수의료 8개 과목(내과, 외과, 산부인과, 소아청소년과, 응급의학과, 심장혈관흉부외과, 신경과, 신경외과)은 70.1%에 불과한 반면, 그 외 과목은 88.4%나 됩니다. 인기 과목으로만 몰린 전공의들 복귀한 전공의들이 어디로 갔는지 보면 더 암담합니다. 영상의학과, 정형외과, 비뇨의학과, 성형외과 등 상대적으로 편하고 수익성 좋은 과목으로만 몰렸어요. 반면 환자의 생명과 직결되는 필수의료 과목들은 여전히 텅텅 비어있습니다. 피부과는 89.9%나 채워졌는데 응급의학과는 3.5%라니, 이게 정말 의료 정상화라고 할 수 있을까요? 더 충격적인 사실은 사직한 전공의의 67.8%가 이미 다른 병의원에 재취업해서 일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그 중 60.9%는 의원에, 23.7%는 병원에서 근무하고 있어요. 결국 대형병원의 힘든 필수의료는 피하고 편한 곳으로 이동한 셈이죠. 국민 분노는 여전히 진행중 정부는 복귀한 전공의들에게 정원 초과 수련을 허용하고, 군 복무 특례까지 제공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하지만 국민들의 반응은 싸늘해요. 환자들은 아직도 의사들에게 사과 한마디 듣지 못했는데, 정부가 나서서 특혜를 제공하는 모습이 납득하기 어렵다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