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실용주의인 게시물 표시

이재명 정부 인사 논란 연속, 실용주의는 어디로 갔나?

이미지
2025년 6월 취임한 이재명 대통령이 연이은 인사 논란에 휩싸이면서 정치권이 시끄러워지고 있습니다. 특히 주요 장관 후보자들과 고위직 인사들을 둘러싼 의혹들이 터져나오면서, 그동안 강조해온 '실용주의 정치'와는 거리가 먼 모습을 보이고 있죠. 이재명 대통령은 성남시장 시절부터 이념보다 실용을 앞세우며 정치적 스펙트럼을 넓혀왔는데, 대통령 취임 후 보여준 인사 행태는 과연 그 연장선상에 있는 걸까요? 아니면 권력을 잡은 후 달라진 걸까요? 취임 직후부터 터진 인사 검증 시스템 구멍 이재명 정부의 인사 문제는 취임 직후부터 시작되었습니다. 가장 상징적인 사건은 오광수 민정수석의 임명 6일 만 사퇴였습니다. 검찰 재직 당시 부인 명의 부동산을 차명으로 관리했다는 의혹이 터지면서 역대 최단기 민정수석이 되어버린 거죠. 더 큰 문제는 이런 기본적인 재산 검증조차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는 점이에요. 참여연대는 "공직 임용에 앞서 재산 검증은 인사검증의 기본 중의 기본"이라며 "인수위 없이 출범했다고 해도 이런 중대한 위법 전력이 검증되지 않았다는 점은 심각한 문제"라고 지적했어요. 이재명 대통령 본인도 7월 기자회견에서 "국민 눈높이나 야당, 지지층 안의 기대치에 못 미치는 측면도 있어 보인다"고 인정했지만, 근본적인 해결책은 제시하지 못했습니다. 논란의 중심에 선 장관 후보자들 7월 국정감사에서는 여러 장관 후보자들이 동시에 논란에 휩싸였어요.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는 '보좌진 갑질' 논란으로,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는 '제자 논문 가로채기' 의혹으로 도마에 올랐습니다. 국민의힘은 이들 외에도 권오을 국가보훈부 장관 후보자,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 후보자, 정동영 통일부 장관 후보자까지 '무자격 후보자'로 지목했어요. 송언석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이재명 대통령과의 비공개 면담에서 "어떻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