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토캐드 인쇄 용지에 딱 맞게 설정하는 방법

📋 목차


    설계 도면 자체가 너무 생소하게 느껴져서 오토캐드 인쇄를 어떻게 해야 할까? 고민하는 캐드 초보자분들 많으시죠? 나중에 알고 보면 가장 쉽게 느껴지는 부분이 바로 '오토캐드 인쇄' 설정입니다.

    실제로 캐드 설정의 '플롯' 부분만 어느 정도 이해한다면 얼마든지 응용까지 가능한 부분이기도 해요. 도면의 축척과는 전혀 상관없이 용지에 맞게 인쇄하는 방법이니 꼭 참고해보세요.

    👉︎ A4지에 꽉차게 인쇄하려면?

    위 화면은 컴퓨터에 저장되어 있는 임의의 캐드 도면을 오토캐드 2020 버전에서 열어둔 화면이에요. 도면의 내용과는 상관없이, 오토캐드 도면을 원하는 프린트 용지에 딱 맞게 인쇄가 가능할까요?

    💡 핵심 포인트 : 오토캐드에서는 인쇄를 '플롯(Plot)'이라고 부르며, Ctrl + P 단축키로 쉽게 접근할 수 있어요.

    오토캐드 플롯 팝업창 열기

    오토캐드에서는 인쇄를 '플롯'이라고 칭하고 있어요. 플롯의 키보드 단축키는 'Ctrl + P'입니다.

    캐드 실행화면 제일 윗부분 메뉴의 '파일' 탭을 펼치면 하단부에서 '플롯 미리보기' 또는 '플롯' 기능을 쉽게 찾을 수 있어요.

    실제로 '플롯'을 실행해보시면 위와 같은 '플롯 – 모형'창이 따로 팝업창으로 표시되는 걸 확인할 수 있어요.

    바로 이 팝업창이 오토캐드 인쇄 용지 맞춤 설정과 관련된 부분이에요. 오토캐드 인쇄와 관련된 모든 설정은 이 팝업창에 포함되어 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제일 먼저 '프린터'라고 표시된 부분을 보시면 이름이 '없음'이라고 기본 설정되어 있을 텐데요.

    바로 이 부분에서 실제 내 컴퓨터와 연결 중인 프린터를 선택하거나 PDF 저장 등을 지정할 수 있어요. 정말 다양한 '프린터/플로터' 목록이 보이시죠? 실제로 종이에 인쇄하려고 한다면 프린트 연결 설정을 미리 해두는 것이 편해요.

    오토캐드 인쇄 용지 맞춤 설정 필수항목



    프린터를 지정한 상태라면, 위 화면 속에 빨간색 사각 테두리로 표시된 부분들만 따로 설정해주시고 밑에 있는 '배치에 적용' 버튼을 클릭하면 되고요.

    보통 오토캐드의 경우 A3용지가 기본인데, 그 옆의 복사매수를 지정한 다음에 도면의 방향(세로 또는 가로)을 지정해보세요~

    여기서 가장 중요한 포인트는 '윈도우' 버튼을 누른 다음에 인쇄 영역을 지정해야 한다는 사실이에요.

    오토캐드 도면 왼쪽 상단 모서리부터 오른쪽 하단 모서리까지 마우스 드래그로 선택하면 되며~ 그렇게 인쇄 영역 지정이 마무리되었다면, 오토캐드 도면을 인쇄하기 전에 '미리 보기' 화면을 통해서 반드시 확인을 하세요.

    미리 보기창을 통해 확인이 끝났다면 '플롯' 버튼을 누르세요. 그 순간 A3용지에 딱 맞는 크기로 캐드 도면이 인쇄됩니다.

    Q. 도면이 용지에 맞지 않고 잘려서 나와요.
    '윈도우' 버튼으로 인쇄 영역을 다시 지정해보세요. 도면 전체가 선택되도록 여유롭게 드래그하는 게 포인트입니다.

    Q. A4 용지에 인쇄하고 싶은데 어떻게 하나요?
    용지 크기 설정에서 A4를 선택하시면 돼요. 기본값이 A3로 되어 있어서 변경해주셔야 해요.

    Q. 도면이 너무 작게 인쇄돼요.
    '배치에 적용' 옵션을 체크하면 용지에 맞게 자동으로 크기가 조정돼요. 축척은 무시하고 용지에 꽉 차게 인쇄됩니다.

    Q. PDF로 저장하고 싶어요.
    프린터 선택에서 'DWG To PDF' 같은 PDF 변환 옵션을 선택하시면 PDF 파일로 저장 가능해요.

    Q. 미리보기에서 도면이 보이지 않아요.
    인쇄 영역이 제대로 지정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아요. '윈도우' 버튼으로 영역을 다시 지정해보세요.

    여기까지 오토캐드 인쇄 용지 맞춤 설정방법에 대해 설명드렸는데, 캐드 초보자분들께 조금이나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처음에는 복잡해 보일 수 있지만, 몇 번만 해보시면 정말 쉬워요. 특히 '윈도우'로 영역 지정하고 '미리보기'로 확인하는 습관만 들이시면 인쇄 실패 없이 깔끔하게 뽑을 수 있으니..참고하세요~

    댓글